쿤밍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쿤밍 지하철은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쿤밍 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1993년 처음 제안되어 2010년 1호선과 2호선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2013년 1호선 남부 구간을 시작으로 여러 노선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현재 1호선부터 6호선까지 운영 중이며, 1호선과 2호선은 연장 공사 및 9호선, 쑹밍선, 안닝선 등이 계획되어 있다. 쿤밍 지하철의 차량은 중국중차 주저우 전력기차에서 제작하며, 각 노선별로 특징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쿤밍시의 교통 -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
중국 서부 대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된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은 2012년 개항하여 중국동방항공의 거점 공항이자 4대 허브 공항 중 하나로 운영되고 있으며, A-CDM 시스템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쿤밍 시내와 다양한 교통망으로 연결된다. - 쿤밍시의 교통 - 쿤밍 우자바 국제공항
쿤밍 우자바 국제공항은 1922년 군사 비행 기지로 설립되어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플라잉 타이거즈 기지로 사용되었고 민간 항공 운송을 담당하다 2012년 폐쇄 후 군사 기지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부도심으로 재개발될 예정이다. - 중국의 도시 철도 - 난닝 궤도교통
난닝 궤도교통은 중화인민공화국 난닝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5개의 노선(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을 운영하며 총 연장 128.2km, 101개의 역을 갖추고 있다. - 중국의 도시 철도 - 지난 지하철
지난 지하철은 중국 지난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2019년 1호선과 3호선 개통 후 2021년 2호선이 추가되어 현재 3개 노선, 총 연장 96.3km, 48개 역을 운영 중이며, 2025년까지 확장될 예정이고, 단거리표 또는 취안청퉁으로 요금을 지불한다. - 20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201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쿤밍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쿤밍 지하철 |
원어 이름 | 昆明地铁 (간체자) |
중국어 병음 | Kūnmíng Dìtiě |
다른 이름 | 昆明轨道交通 (간체자), 昆明軌道交通 (번체자), Kūnmíng Guǐdào Jiāotōng (중국어 병음) |
![]() | |
![]() | |
위치 | 쿤밍 시, 윈난 성, 중화인민공화국 |
교통 유형 | 도시 철도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쿤밍 궤도교통 그룹 |
개업일 | 2012년 6월 28일 |
노선 수 | 6개 (운영 중) |
역 수 | 115개 |
일일 승객 수 | 798,100명 (2021년 평균) |
연간 승객 수 | 2억 2천 2백만 명 (2021년) |
노선 길이 | 164.3 km |
궤간 | 표준궤 |
평균 속도 | 80 km/h |
최고 속도 | 120 km/h |
배차 간격 | 5분 (1/2호선), 8분 (나머지 노선) |
노선 목록 | |
노선 |
2. 역사
1993년, 쿤밍에 철로를 세우기 위한 첫 번째 제안이 있었다. 2009년 쿤밍 지하철 프로젝트가 국무원의 허가를 받았고, 2010년 5월 1일 쿤밍 지하철 1호선과 2호선 건설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쿤밍의 6호선은 충칭, 청두, 시안 등과 연결되어 도시의 철도 노선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개통하게 했다. 2013년 5월 30일 1호선 남부 구간에서 시범 운행을 했고, 2014년 4월 30일 1, 2호선 전 구간이 연결되어 시험 운행을 했다.
2013년 1월 8일 시운전 중이던 1호선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해 운전사가 사망했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쿤밍시는 오랫동안 교통 체증에 시달려 왔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지하철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2] 쿤밍은 네트워크 건설 당시 3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급증했고, 지하철 시스템이 없는 중국의 대도시 중 하나였다.2006년 제안에서는 북-남 노선과 동-서 노선 건설을 2008년에 시작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2009년에 쿤밍 지하철 프로젝트가 처음 발표되었고, 그 해 말에 건설이 시작될 예정이었다.
쿤밍 지하철은 도시 핵심 지역의 교통 문제를 완화하고 남동부의 성장을 장려하는 이중적인 목적을 수행했다.[5][6]
2009년 6월 8일 국무원이 쿤밍 지하철 건설을 비준했다.[7]
2. 2. 노선 건설 및 개통
- 1호선과 2호선이 2010년 5월 1일에 정식으로 착공되었다.[1]
- 6호선이 2010년 8월 1일에 착공되었다.[1]
- 3호선이 2010년 8월 9일에 시험적으로 착공되었다.[1]
- 6호선이 2012년 6월 28일에 중간 역을 미개업한 상태로 "관광 시운전"을 시작하였다.[1]
- 1호선 남단 구간이 2013년 5월 20일에 정식 개통되었다.[1]
- 2016년 12월 26일, 1호선 지선이 춘융제역부터 쿤밍난역까지 시험 영업을 시작하였다.[1]
- 2017년 8월 29일, 3호선이 둥부치처잔역 (동부 버스 터미널역)부터 시산공원역 (서산 공원역)까지, 6호선이 지창중신역 (쿤밍 공항역)부터 둥부치처잔역 (동부 버스 터미널역)까지 시험 영업을 시작하였다.[1]
- 2020년 9월 23일, 4호선 및 6호선 연장선이 개통되었다.[1]
- 2022년 6월 29일, 5호선이 개통되었다.[1]
2. 3. 사고
2013년1월 8일 오전 9시 9분, 1호선 남단 구간에서 시운전 중 두난역에서 약 500m 떨어진 지점에서 1량째가 탈선하여 운전석의 냉방 설비가 낙하했다. 이 사고로 운전사가 사망하고 관계자 1명이 경상을 입었다.[35]3. 운영 중인 노선
춘융제 - 쿤밍난 기차역
2016년 12월 26일
6량 B형